웹 브라우저 상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음성, 화상 채팅,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WebRTC 기술은 P2P 통신에 최적화 되어 있음
WebRTC에 사용되는 기술은 크게 3가지의 클래스에 의해서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일어난다.
이 3가지의 객체를 통해서 데이터 교환이 이뤄지며 RTCPeerConnection들이 적절하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처리해 주는 과정을 **시그널링(Signaling)**이라고 한다.
PeerConnection은 두 명의 유저가 스트림을 주고 받는 것이므로 연결을 요청하는 콜러(Caller)와 연결을 받는 콜리(Callee)가 존재한다. 콜러(Caller)와 콜리(Callee)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중간 역할을 해 주는 서버가 필요하고 서버를 통해서SessionDescription을 서로 주고 받아야 한다.
스트리밍 미디어를 기술하기 위한 포맷. 형식? 표준?
실제로 WebRTC를 이용해서 SDP format에 맞춰져 음성, 영상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음
해상도나 형식, 코덱, 암호화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표준이다.